※ 본 정리 글은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책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
정보처리기사 실기 1회 합격 과정에서 각 단원별 핵심으로 외웠던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.
실기 시험 전날까지 매일 답을 가리고 단답형 문제 풀이 방식으로 반복해서 풀어주세용. → 반복만이 살길
문제 | 답 |
( )은 데이터를 정의하는 언어로서 ‘데이터를 담는 그릇을 정의하는 언어’이다 | DDL (Data Define Language) |
( )은 테이블의 각 튜플들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키이다. | 기본키 (Primal key) |
( )은 한 릴레이션의 컬럼이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로 이용되는 키이다. | 외래키 (Foreign key) |
( )은 정규화된 엔티티, 속성, 관계에 대해 성능 향상과 개발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, 통합,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이다. | 반정규화 |
( )은 모든 서브 타입으로 상송되는 공통 속성이다. | 슈퍼타입 |
( )은 개체의 전체 집합에서 일부만 모아놓은 부분 속성이다. | 서브타입 |
( )은 검색 연산의 최적화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열의 정보를 구성한 데이터구조이다. | 인덱스 |
( )은 의사소통 개선과 즉각적 피드백으로 소프트웨어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론으로 5가지 가치와 12가지 실천항목이 존재한다. | XP (eXtram Programming) |
( )은 데이터 중복성으로 인해 릴레이션을 조작할 때 발생하는 비합리적인 현상이다. | 이상현상 |
( )은 정보 저장 시 해당 정보의 불필요한 세부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이다. | 삽입이상 |
( )은 이행함수 종속 제거, 속성에 종속적인 속성을 분리한다. | 3차 정규화 |
( )은 다치(다중 값) 종속성 제거, 특정 속성 값에 따라 선택적인 속성을 분리한다. | 4차 정규화 |
( )은 특정 컬럼의 데이터가 테이블에 평균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정도이다. | 분포도 |
( )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들을 입력, 수정, 삭제, 조회하는 언어이다. | DML (데이터 조작어) |
( )은 연속적인 숫자나 날짜를 기준으로 하는 파티셔닝 기법이다. | 레인지 파티셔닝 |
문제 | 답 |
( )은 파티션 키의 해시 함숫값에 의한 파티셔닝 기법이다. | 해시 파티셔닝 |
( )은 범위분할에 이후 해쉬 함수를 적용하여 재분할 하는 패티셔닝 기법이다. | 컴포지트 파티셔닝 |
( )은 특정 파티션에 저장될 데이터에 대한 명시적 제어가 가능한 파티셔닝 기법이다. | 리스트 파티셔닝 |
( )은 다수의 인원,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되어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. | 데이터베이스 |
( )은 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가장 보편화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이다. | RDBMS |
( )은 Key 기반 Get/Put/Delete 메서드를 제공하고, 메모리 기반에서 성능을 우선하는 시스템이며,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DBMS이다. | Key-Value Store DBMS |
( )은 Key 안에 Column, Value 조합으로 된 여러 개의 필드를 갖는 DBMS이다. | Column Family Data Store DBMS |
( )은 Value의 타입이 Document라는 타입을 사용하는 DBMS이다. | Document Store DBMS |
( )은 시멘틱 웹과 온톨로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그래프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DBMS이다. | Graph Store DBMS |
( )은 부적절한 자료가 입력되어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성질이다. | 데이터 무결성 |
( )은 삽입, 삭제, 갱신, 생성 후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변함없이 일정한 성질이다. | 데이터 일관성 |
( )은 장애가 발생할 시 특정 상태로 복구되어야 하는 성질이다. | 데이터 회복성 |
( )은 시스템, 서비스, 조직 등에서 주어진 비용, 시간 내에 처리 가능한 데이터 범위를 넘어서는 수십 페타바이트(PB) 크기의 비정형 데이터이다. | 빅데이터 |
( )은 구글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분산 병렬 컴퓨팅에서 처리하기 위해 제작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. | 맵 리듀스 |
문제 | 답 |
( )은 전통적인 RDBMS와 다른 DBMS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데이터 저장에 고정된 테이블 스키마가 필요하지 않고, 조인 연산을 사용할 수 없으며, 수평적으로 확장이 가능한 DBMS이다. | NoSQL |
( )은 실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개념들과 그 개념들 간의 속성, 관계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해놓은 지식베이스이다. | 온톨로지 |
( )은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기술하고 온톨로지의 상호 운용성을 이용해서 서비스 검색, 조합, 중재 기능을 자동화하는 웹이다. | 시맨틱웹 |
( )은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내는 기술 | 데이터마이닝 |
( )은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패턴 또는 관계를 추출하여 의미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기법이다. | 텍스트마이닝 |
( )은 대상 레코드들을 유사한 특성을 지닌 몇 개의 소그룹으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법이다. | 데이터 군집화 (Clustering ;클러스터링) |
( )은 네트워크 DBMS는 데이터의 구조를 네트워크 상의 망 형태로 표현한 데이터이다. | NDBMS |
( )은 참조되는 릴레이션에서 튜플을 삭제하고, 참조되는 릴레이션에서 이 튜플을 참조하는 튜플들도 함께 삭제하는 옵션이다. | Cascade (연쇄) |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반응형
'정보처리기사 실기 > 정보처리기사 실기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8. 서버프로그램 구현 (2) (0) | 2021.06.27 |
---|---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9. 소프트웨어 개발 구축 구현 (3) (0) | 2021.06.27 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2. 화면설계 (2) (0) | 2021.06.26 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2. 화면설계 (1) (0) | 2021.06.26 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1. 요구사항 확인 (2) (0) | 2021.06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