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보처리기사 실기/정보처리기사 실기 개념
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8. 서버프로그램 구현 (1)

by Dongdang 2021. 6. 27. 12:44

 본 정리 글은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책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 

 쿠팡에서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로켓배송받기

 

정보처리기사 실기 1회 합격 과정에서 각 단원별 핵심으로 외웠던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. 

 

실기 시험 전날까지 매일 답을 가리고 단답형 문제 풀이 방식으로 반복해서 풀어주세용. → 반복만이 살길

 

문제
( )/는 작성한 코드와 빌드 및 배포를 수행하는 도구이다. 빌드 도구
( )/는 개발자의 코드 작성과 디버깅, 수정 등과 같은 작업을 지원하는 도구이다. 구현 도구
( )/는 코드의 기능 검증과 전체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. 테스트 도구
( )/는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와 리소스 등 산출물에 대한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 형상 관리 도구
( )/는 개발 과정의 각 단계의 산출물을 검토, 평가, 조정, 처리 등 변화를 통제하는 시점의 기준이다. 베이스라인
( )/는 전체 프로그램의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실행코드를 의미한다. 공통 모듈
( )/HTTP를 이용한 요청/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로, 웹 상의 정적 콘텐츠를 처리한다. 웹 서버
( )/는 사용자 요청 스레드를 처리하고,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SQL 쿼리문에 대한 결과값을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이다.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
(WAS)
( )/는 파일 저장 하드웨어로 물리 저장장치를 활용한 서버이다. 파일 서버
( )/Visual Basic, C# 등으로 개발되어 설치를 통해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프로그램이다. 클라이언트 프로그램
( )/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활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. 모바일 앱
( )/는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스마트 폰을 위한 미들웨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, 중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구글이 개발한 운영체제이다. 안드로이드
( )/는 자바 바이트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주체로 CPU나 운영체제 종류와 무관하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가상 머신이다. JVM
(Java Virture Machine)
( )/JSP와 서블릿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. 컨테이너
( )/는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연결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에 대한 관리를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이다. 미들웨어
문제
( )/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항목의 변경사항을 관리하기 위한 활동이다. 형상 관리
( )/는 형상 관리 대상을 정의 및 식별하는 활동이다. 형상 식별
( )/는 형상 항목의 버전 관리를 위한 형상통제위원회를 운영하고 변경요구 관리 및 형상 관리 등 통제를 지원하는 활동이다. 형상 통제
( )/는 베이스라인 변경 시 요구사항과 일치 여부를 검토하는 활동이다. 형상 감사
( )/는 소프트웨어 형상 및 변경관리에 대한 각종 수행결과를 기록하는 활동이다. 형상 기록
( )/는 형상 관리 도구로 매일 개발이 완료된 파일은 약속된 위치의 공유 폴더에 복사하는 방식이다. 공유 폴더 방식
( )/는 형상 관리 도구로 중앙에 버전 관리 시스템을 항시 동작시키는 방식이다. 클라이언트/서버 방식
( )/는 형상 관리 도구로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로 분리된 구조이다. 분산 저장소 방식
( )/SVN과 비슷한 중앙 통제 방식으로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빠른 속도를 내도록 개발된 형상관리 도구이다. Bitkeeper
( )/는 커밋(COMMIT) 동작은 작은 로컬 저장소에서 이루어지고, 푸시(PUSH)라는 동작으로 원격 저장소에 반영되는 특성을 가진 도구이다. Git
( )/Java 기반 프로젝트 관리를 목적으로 컴파일, 빌드, 패키지, 테스트, 라이브러리 관리 기능이 있는 빌드 도구이다. 메이븐 (Maven)
( )/는 그루비(Groovy)를 기반으로 하여 AntMaven 등 이전 세대 빌드 도구와 단점을 보완하고 개선한 빌드 도구이다. 그래들 (Gradle)
( )/는 저장소를 생성하는 Git 명령어이다. git init
( )/는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. 각자 독립적인 작업 영역 안에서 마음대로 소스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. 브랜치 (Branch)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