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본 정리 글은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책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
정보처리기사 실기 1회 합격 과정에서 각 단원별 핵심으로 외웠던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.
실기 시험 전날까지 매일 답을 가리고 단답형 문제 풀이 방식으로 반복해서 풀어주세용. → 반복만이 살길
문제 | 답 |
C++, 자바에서는 참일 경우 ( )로, 거짓일 경우 ( )으로 표현한다. |
true, false |
C++에서 문자 하나를 저장하고자 할 때 데이터 타입 선언은 ( )이라고 한다. | char |
C언어에서 double은 ( )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. | 실수형 |
( )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실수치, 정수 자료형과 같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형태이다. | 데이터 타입 |
( )은 저장하고자 하는 어떠한 값이 있을 때, 그 값을 주기억 장치에 기억하기 위한 공간이다. | 변수 |
( )은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집합이다. | 배열 (Array) |
자바에서 char형 배열을 4개를 선언할 경우, char []arr = ( ) char[5]; 라고 선언한다. |
new |
( )은 변수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다. | 포인터 |
int *a = &p; 라고 할 때, a 는 ( )이고, &p는 ( )이다. |
포인터 변수, 주소값 |
( )은 자바에서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(Set)의 성질을 가진 클래스로, 순서가 중요하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. | HashSet |
( )은 자바에서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의 성질을 가진 클래스이며, 순서가 중요하며, 인덱스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. | ArrayList |
( )은 자바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가 이전 노드와 다음 노드의 상태를 알고 있는 링크드 리스트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이다. | LinkedList |
( )은 자바에서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이다. | HashMap |
( )은 파이썬에서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이다. | 세트형 |
( )은 파이썬에서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이다. | 리스트형 |
문제 | 답 |
( )은 파이썬에서 초기에 선언된 값에서 값을 생성, 삭제, 수정이 불가능한 형태의 자료구조이다. | 튜플형 |
( )은 파이썬에서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자료구조이다. | 딕셔너리형 |
파이썬에서 a = [1,2,3,4,5] 라고 할 때, a[-1]의 값은 ( )이다. |
5 |
파이썬에서 a = [1,2,3,4,5]라고 할 때, a[0]의 값은 ( )이다. |
1 |
( )은 리스트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하는 기법이다. | 리스트 슬라이싱 |
a = [1,2,3,4,5]로 a를 정의한 후에 a[1:4]의 값은 ( )이다 |
[2, 3, 4] |
a = [1,2,3,4,5]로 a를 정의한 후에 a[0: 4: 2] 값은 ( )이다. |
[1, 3] |
( )은 변수, 상수, 함수 등 서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름이다. | 식별자 |
( )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미 문법적인 용도롤 사용되고 있는 단어로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. | 예약어 |
( )은 식별자 표기 시에 여러 단어가 이어지면 첫 단어 시작만 소문자로 표시하고,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지정하는 표기법이다. |
카멜 표기법 |
( )은 식별자 표기 시에 여러 단어가 이어지면 각 단어의 첫 부분은 대문자로 지정하는 표기법이다. | 파스칼 표기법 |
( )은 식별자 표기 시에 여러 단어가 이어지면 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는 표기법이다. | 스네이크 표기법 |
( )은 식별자 표기 시에 두어에 자료형을 붙이는 표기법으로, int형일 경우 n, char형일 경우 c, 문자형일 경우 sz를 붙인다. | 헝가리안 표기법 |
( )은 왼쪽 값을 오른쪽 값으로 나눈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자이다. | % |
( )은 왼쪽 값을 오른쪽 값만큼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하는 연산자이다. | << |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반응형
'정보처리기사 실기 > 정보처리기사 실기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6.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(3) (0) | 2021.06.27 |
---|---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6.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(2) (0) | 2021.06.27 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8. 서버프로그램 구현 (1) (0) | 2021.06.27 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7. SQL 활용 (0) | 2021.06.27 |
2021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 개념 톺아보기 - 9. 소프트웨어 개발 구축 구현 (2) (1) | 2021.06.27 |
댓글